티스토리 뷰
1. if
1) 형식
if(조건) { 참일 경우 출력물1 } else { //조건이 참일 경우를 제외한 경우 출력물2 } | cs |
if( a > 1 & a < 10) { System.out.println("2,3,4,5,6,7,8,9"); } if( 0 ) { // 에러 발생: 0은 true/false를 따질 수 없음 System.out.println("0입니다.") } | cs |
public class Example1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if(args.length != 1){ System.out.println("0~100사이의 값을 입력하시오."); return; } }//end of main }//end of class | cs |
※ 유효성 검사: 인자값을 하나 이상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류를 미리 차단
※ args.length: args(인자값)에 .을 통해 정보에 접근, 문자열을 구성하는 글자의 수를 파악할 수 있음
※ return: "끝"이라는 의미를 갖는 키워드(예약어)
2) else if
if(조건문1) { 참일 경우 출력물1 } else if(조건문2) { 참일 경우 출력물2 } | cs |
2. switch
- switch문은 if~else문과 달리 범위를 지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
- 사용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
- if문과 switch문은 서로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다
예) if 문
int i = Integer.parseInt(args[0]); if(i >= 90 & i <= 100){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수입니다."); }else if(i >= 80 & i < 90){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우입니다."); }else if(i >= 70 & i < 80){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미입니다."); }else if(i >= 60 & i < 70){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"+i+"점은 양입니다."); }else if(i < 0 | i >100){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"); } | cs |
예) 위 if문을 switch문으로 바꾼 경우
if(i >100 | i < 0){ System.out.println("0~100사이의 값을 입력하시오."); return; } int i = Integer.parseInt(args[0]); String grade = "수"; switch(i/10){ case 10: case 9: break; case 8: grade = "우"; break; case 7: grade = "미"; break; case 6: grade = "양"; break; default: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을 확인하세요"); break; } System.out.println("입력하신 값 "+Integer.parseInt(args[0])+"점은"+grade+"입니다."); | cs |
'Program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산자 (0) | 2019.03.20 |
---|---|
Data type (0) | 2019.03.06 |
몇 가지 기본 규칙 (0) | 2019.03.06 |
Compile (0) | 2019.03.06 |
개발 환경 구축 (0) | 2019.03.05 |
댓글